데이터를 공부하면서 본격적으로 파이썬 공부를 하기로 시작하였다.
공부하는 내용에 대해서 차근차근 써보고, 또 공유하고자 한다.
너무 기초적인것들 빼고, 그래도 꼭 기억해야 하는 것들 위주로 좀 적어보고자 한다.
|Map 사용 하기
다른 문자 없이 오직 input()을 사용하게 되면 변수에 문자열 형 변수를 넣게 된다.
따라서 이를 정수형으로 바꾸려면 int()를 사용해주어야 한다.
예시) a,b,c를 문자형으로 각각 받는다.
a, b, c = input().spilt()
그럼 이를 정수형으로 적용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
한 줄을 더 적어 줘야 한다.
a, b, c = int(a), int(b), int(c)
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게 바로 map이다
위 두줄은 아래 한 줄로 바뀐다.
a, b, c = map(int,input().split())
단순히 map을 암기한다는 게 좋은 것은 아니지만, 간단히 표현하기 위해서 외워두자.
|strip 사용 하기
또 여기서 중요 한점,
문자열을 받을 때 단순히 a = input()으로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자.
그 이유는 공백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.
따라서 input과 함께 spilt을 쓰거나, int나 float 정수로 묶어 주거나,
아니면 strip()을 사용하도록 하자.
# 공백으로 구분 할 경우
input().split()
# 정수 또는 실수
int(input()), float(input())
# 한 줄 만 써서 문자열을 그대로 받을 때
input().strip()
이렇게 사용했을 때, 공백으로 인한 에러가 없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.
(만약 split을 사용했을 때 공백이 2칸이면 에러가 난다.)
|서식 문자 알아보기
input을 통해 받아온 문자는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데, 그중에서 사용할 것이 바로 서식 문자이다.
서식 문자를 예시를 통해 간단히 알아보자.
우선 문자를 받아서,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.
a, b, c = input().split()
print(a, b, c)
print("%s %s %s" % (a, b, c))
print("{} {} {}".format(a, b, c))
print(f"{a} {b} {c}")
4가지의 print 모두 동일한 결과를 가져온다.
먼저 여기서 %s 와 같은 문자를 서식 문자라고 한다. 서식 문자는 위치만 잡아 준 뒤, %를 사용해서 차례대로 그 위치에 넣어준다. 뒤에 a, b, c는 서식 문자에 대입되는 인수 들이다. 이는 C언어에서도 비슷하게 사용되긴 한다.
하지만 {}를 사용하는 것은 파이썬에서 지원하는 방식이다.
서식 문자 대신 {}를 사용 한 뒤 format 뒤에 개수를 맞추어 인수를 적어 주면 된다.
또한 파이썬 3.6 버전부터는 format 대신 괄호 앞에 f를 적어주고, 괄호 안에 직접 인수를 넣어줌으로 써
편리하고 가독성도 뛰어나게 기재해줄 수 있다.
서식 문자는 %s 뿐만 아니라 정수를 뜻하는 %d 와 실수(소수를) 뜻하는 %f 도 있다.
서식 문자 | 설명 |
%s | 문자열 |
%d | 정수 |
%f | 실수,소수 |
|후기
후기라고 할만한 것은 없지만, 그래도 틈틈이 공부하면서 꼭 남겨놓기!
이상 끝!
'쓰면서 배우는 곳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파이썬으로 엑셀 파일 번역하기(googletrans, openpyxl, tkinter) (0) | 2022.09.17 |
---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