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내가 사는 이야기/생활정보

[빛수레 건강정보] 고혈압이신가요? 고혈압에 좋은 음식과 나쁜음식!

by 빛수레 2022. 11. 27.
반응형

주위에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다.

나도 혈압이 높은 편이라서, 자기 관리 차원에서 포스팅과 함께 공부하고자 한다.

 

먼저, 혈압이란 말 그대로 혈액이 우리 몸의 혈관 벽에 주는 압력을 말한다. 

우리가 보건소나 병원 등에서 혈압을 측정하게 되면 상단 하단의 각각 혈압이 있는데, 

이는 수축기 혈압과 확장기 혈압, 즉 최고 혈압과 최저 혈압을 말한다. 

 

수축기혈압(최고혈압)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내게 되고, 이때 혈관에 가해지는 힘을 말하며

확장기 혈압(최저혈압)은 심장이 이완하면서 혈액이 들어올 때 혈관에 가해지는 힘을 말한다.

 

사회 통상적으로 혈압과 관련하여 위험한 요소가 되는 것은 음주, 고령, 비만, 짠 음식, 스트레스, 가족력, 흡연, 운동부족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존재한다. 

그 중에서 올해 다루게 될 고혈압은 혈관이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좁아지게 되어 피가 잘 통하지 못해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여 혈압이 정상치보다 높게 나타나는 질병이다. (18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최고 140mmHg, 최저 90mmHg 이상인 경우)

 

그럼 본격적으로 고혈압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.

 

 


 

|고혈압에 나쁜 음식

  1. 피클

    - 피클은 결론적으로 나트륨이 문제이다. 대표적인 고혈압에 나쁜 음식으로, 피클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절인 음식으로

      다량의 나트륨 포함되어있으므로 고혈압에 좋지 않다.

 

2. 라면

   - 결국엔 나트륨이 나쁜것이고, 현대인들이 가장 즐겨 먹는 식사, 간식이 라면일 것이다. 나트륨이 많아 혈압을 높이는

     원인이 될 수 있다. 

 

3. 트랜스지방 / 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된 가공식품, 고기류

   - 결국 심장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혈압에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고, 이를 위해서 트랜스지방을 반드시 피해야 한다. 

     가공식품에 많이 들어있고, 간이 많이 되어있는 돼지고기나 스테이크 등 적게 섭취하는 습관을 갖자.

 

 4. 술(알코올)

   - 술과 같은 알코올은 결국 보용하는 약물의 상호작용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과체중과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고혈압

     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. 적당한 음주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.

 

 


 

 

|고혈압에 좋은 음식

1.연어,등푸른 생선

   - 연어 등 지방이 많은 생선의 경우 오메가 3 지방을 공급하여 심장과 혈관건강에 좋습니다. 또한 등 푸른 생선은 불포화

     지방산이 다량 함유 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준다

 

2. 해조류

   - 혈관 건강에 좋은 대표적인 음식인 해조류는 피를 맑게 해 주어 고혈압과 혈관건강에 도움을 줍니다. 

     미역 다시마는 무기질과 비타민, 단백질이 풍부하여 고혈압 관리에 좋다.

 

3. 두부

   - 리놀산은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며, 두부를 통해 섭취 할 수 있다.

 

4. 토마토

  - 토마토의 빨간색을 만들어주는 라이코펜(리코펜)은 강력한 항산화작용으로 혈전 형성을 막아주어 고혈압과 같은

    심장질환, 뇌졸증, 심근경색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.

 

5. 바나나

  - 바나나는 칼륨이 많아 나트륨 배출에 도움을 주어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.

 

6. 감귤류 과일(자몽,오렌지,레몬,귤)

  -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감귤류 과일은 혈압 저하에 효과를 줄 수 있고, 심장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 

    되는 과일이다.

 

7. 근대

  - 근대는 칼륨과 마그네슘이 풍부한 녹색채소로, 혈압을 낮추는데 큰 도움이 된다. 

 

|후기

나는 혈압도 높고 콜레스테롤 관리를 잘해야 한다.이런 포스팅을 적으면서 큰 공부가 되는 것 같다.모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을 잘 구별하여 똑똑하게 먹는 식습관을 가져 건강한 라이프를 즐기길 바란다!

 

이상 끝!

 

 

반응형

댓글